2025년 최저시급은 10,12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금액이 그대로 통장에 들어오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는 4대보험 공제 등을 거친 실수령액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최저임금으로 일했을 때, 실제로 받게 되는 월급은 얼마인지 구체적인 계산 방법과 예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 2025년 최저임금 기본 정보
- 시급: 10,120원
- 월 환산 기준 근무시간: 209시간
- 월급(세전): 10,120원 × 209시간 = 2,114,080원
📌 4대보험 공제 내역 (예상)
4대보험은 총 9% 내외의 공제를 차지합니다. 다음은 2025년 기준 추정 공제율로 계산한 예시입니다.
항목 | 공제율(근로자 부담) | 예상 공제액 |
---|---|---|
국민연금 | 4.5% | 95,133원 |
건강보험 | 3.495% | 73,839원 |
장기요양보험 | 0.455% | 9,621원 |
고용보험 | 0.9% | 19,027원 |
총 공제액 | - | 197,620원 |
💰 2025년 최저시급 실수령액은?
총 세전 월급: 2,114,080원
총 공제액: 약 197,620원
실수령액: 약 1,916,460원
즉, 2025년 최저임금 기준으로 주 40시간(월 209시간) 근무 시, 실수령 월급은 약 191만 원 정도가 됩니다.
📌 주휴수당 포함 vs 미포함 차이
만약 주 15시간 이상 일하면서 주휴수당을 받지 않는 경우, 실수령액이 더 낮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주휴수당을 받는 조건이면 위 금액과 비슷한 수준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 TIP: 실수령액 계산기 활용하기
정확한 실수령액은 개인의 4대보험 가입 여부, 근무시간, 근무형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또는 네이버 급여계산기를 활용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마무리
2025년 최저임금이 인상되었지만, 실질적인 소득은 세후 실수령액 기준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월급명세서를 이해하고, 공제 내역을 파악하는 습관은 재무관리의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소상공인 입장에서 본 2025년 최저임금 영향’을 다룰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728x90
'재태크, 직장인 필수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취 비용 절약 시리즈 #1 (0) | 2025.04.07 |
---|---|
최저임금 위반 신고 방법과 절차 안내 (0) | 2025.04.06 |
최저임금제도란? 2025년 변경사항과 기본 개념 정리 (0) | 2025.04.06 |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소상공인 영향 분석 (2025년 기준) (0) | 2025.04.06 |
2025년 최저임금 인상 확정! 얼마나 올랐고, 어떤 영향이 있을까? (0) | 2025.04.05 |